본문 바로가기
인상깊은한줄

[책한줄] 머니패턴

by 신바람~독서 2022. 9. 30.

제목 : 머니 패턴 

저자 : 김요셉, 김채송화

출판 : 비즈니스북스

 

책속에서 한줄을 뽑아 보았습니다. 

 

삶은 고민하고 신경 쓰지 않으면 늘 해왔던 방식대로 움직인다.
여기에는 심리패턴이 큰 역할을 한다.
심리패턴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행동을 결정한다.
과거에 억압된 감정들이 그대로 남아서 생긴다.
의식보다 훨씬 더 큰 에너지장이다.
우리의 감정, 사고, 행동을 지배한다.
대물림되어 습관과 행동양식으로 전수된다.

운이 좋다는 생각의 힘 

운이 좋다는 생각의 힘
운은 당신이 만들어가는 것이다. 이제라도 선택하라. 운이 좋다고 생각하면 인생에서 반드시 승리할 것이다.
미국 카네기 공과대학에서 '성공하는 사람의 자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성공하는 사람은 어려운 순간을 잘 극복하는 사람이었다. 많이 배운 사람도, 유산을 많이 물려받은 사람도, 배경이 좋은 사람도 아니었다. '극복 지수'가 높은 사람이 성공 확률이 높았다.
누구나 살다 보면 위기의 순간이 온다. 이때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사람에게는 어렵고 힘든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 이는 다른 말로 '나는 운이 좋은 사람'이라는 마음가짐이다.
 
일본의 전설적인 경영인 마쓰시타 고노스케는 그야말로 자신이 운 좋은 사람이라고 말하고 다닌 대표적인 인물이다. 1894년에 태어난 그는 1918년 전기산업 내쇼날, 파나소닉 등의 기업을 설립했고, '끊임없는 창의적 연구를 통해 무에서 유를 창출한다'는 경영 이념을 세워 회사들을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그는 늘 3가지에 대해 감사했다.
“첫째, 너무나 가난했기에 감사합니다. 그 덕분에 어려서부터 구두닦이, 신문팔이 등 안 해본 일 없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둘째, 너무나 허약했기에 감사합니다. 그 덕분에 건강에 신경 쓸 수 있었고 운동에 힘썼기에 나이 들어서까지 건강하게 지낼 수 있었습니다.
셋째, 너무나 배운 것이 없어서 무식했기에 감사합니다. 그 덕분에 모든 사람이 스승이었고 누구에게나 물어가며 열심히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는 어떤 조건에서도 자신이 운이 좋다고 여겼고 주어진 상황에 감사했다. 운이 좋다는 마음가짐을 중시한 그는 회사 면접 때도 지원자들에게 반드시 질문했다.
“당신은 운이 좋은 사람입니까?"
마쓰시타 회장의 이야기를 읽고 나니 어떤 생각이 드는가. 그렇다. 운은 선택이다. 운이 정말 좋아서 운 좋은 일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운이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운이 좋아지는 것이다.

 

돈을 벌고 싶다면 다른 사람이 먼저 돈을 벌 수 있게 도와야 한다. 그래야 더 큰 돈을 벌 수 있는 기회와 시장이 열린다.
_마윈, 알리바바그룹 창업자

 
리처드 브랜슨Richard Branson, 버진그룹 Virgin Group 회장"지금까지 수없이 많은 억만장자를 만났지만, 오로지 본인만 부자가 되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_ 짐 오닐 Jim O'Neill 전 골드만삭스 Goldman Sachs 회장
 
“나는 돈을 위해 열정적으로 일한 적이 없다. 열정적으로 일했더니 돈이 생겼을 뿐이다."
_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
 
"돈을 벌겠다는 욕심으로 구두를 만들면 실패한다. 좋은 구두를 만드는 것은 사람에 대한 연민과 사랑에서 출발해야 한다."
_살바토레 페라가모 Salvatore Ferragame, 페라가모 CEO
 
“부에 이르는 비밀은 간단하다. 타인에게 더 많이 도움을 줄 방법을 찾으면 된다. 더 많이 행동하고 더 많이 베풀고 더 큰 존재가 되고 더 많이 봉사하면 된다. 그러면 더 많이 벌 기회가 생긴다."
토니 로빈스 Tony Rabbins, 변화심리학자. <머니》 저자
"사람들은 돈을 벌기 위해 일한다. 하지만 인생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더 열심히 일한다."
_제프리 페퍼Jeffrey Pfeffer, 스탠퍼드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
 
돈이 인생의 목적이라면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현재 하는 일을 사랑하라. 그리고 고객을 중시하라. 그러면 성공은 조용히 당신을 찾아온다.
_레이 크록Ray Kroc, 맥도날드Mcdonald's 창업자
 
기업이 오직 돈을 벌기 위해 존재한다고 잘못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물론 기업에게 돈은 중요하다. 그런데 더 깊이 생각하고 존재의 진정한 이유를 찾아야 한다. 그러면 혼자서는 성취하지 못할 일을 성취하고, 진부한 말이기는 하지만 사회에 공헌하기 위해 함께 모여 기업이라는 조직으로 존재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_데이비드 패커드David Packard, 휴렛패커드(Hewlett-Packard 공동 창업자)